서비스기획자 3

모르면 일단 물어보자

지난 4개월 간, 뒤를 돌아볼 시간도 없이 바쁘게 지냈다. 업무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는 결혼을 준비하고 있어서 더욱 바빴던 것 같다. PM으로 일하기 시작한지 1년이 지난 지금, 많은 배움이 있었다. 성장에 대한 끝없는 열망, 그리고 좌절회사에서는 거의 매일 성장에 대한 의지를 갖고 일했다. 더 나은 프로세스, 더 나은 소통, 더 나은 결과물 등을 추구했다. 하지만 그럴수록 나의 한계에 부딪혔고 한계에 부딪힌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아 회사의 탓을 해보기도 하고 도구의 탓을 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은 나 스스로를 되돌아 보게 되었고, 내가 지금 해야할 일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해결해야할 문제가 많다면 일단 근거를 수집해서 이게 정말 문제인지. 이게 정말 리스크인지 조심스..

In my opinion 2024.09.08

관계가 먼저, 그리고 좋은 것을 받아들이기

벌써 입사한 지 6개월이 지났다. 말이 6개월이지만 개인적으로는 그 시간보다 더 많은 성장이 있었다. 6개월 사이에 내게 많은 책임과 역할들이 부여되어 실패도 꽤나 겪었고, 그것을 이겨내는 법도 배웠다. 최근에 내가 배우고 깨달은 것은, 1. 관계가 먼저이다. 2. 좋은 것을 받아들여야 좋은 것을 내뿜을 수 있다. 이 두 가지 이다. 1. 관계가 먼저이다. 나는 원래 사람을 좋아한다. 사람의 감정을 함께하는 것을 좋아하고, 같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을 좋아한다. 일할 때도 나의 그런 성향이 많이 반영된다. 일을 할 때도 아무리 촉박한 일정이라고 하더라도, 누군가와 협업을 하는 과정은 최대한 즐겁게 보내려고 한다. 내가 질 수 있는 책임을 충분히 지면서도, 동료가 나 때문에 불이익을 받지않도록 하려한다..

In my opinion 2024.03.19

[기획] 서비스 기획자가 되기 위한 자격은?

 취업 준비를 통해서 진로를 고민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회사에서 서비스 기획자에게 기대하는 역할은 무엇인지 조사해보았다. 3개의 플랫폼에서 10개이상의 회사, 스타트업, 유니콘 기업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현재로써 체감한 바로는, 유니콘 기업에서는 현업에서 잘 단련된 유능한 Product Manager를 선호했고, 스타트업에서는 서비스를 운영하고 기획하는데 필요한 주요 행정 업무 및 문서를 처리할 실무자(=서비스 기획자)를 선호했다. 나는 Product Manager가 되고 싶지만, 현재로써는 경력이 부족하고 실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서비스 기획자로 먼저 도전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이 들었다. 서비스 기획자는 사실 IT업계에서 완벽하게 정해진 업무 범위도 없고, 회사마다 그 명칭이 다르다. 하지만 공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