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트 매니저 3

[React] map 함수 활용하기

목표: 원소의 초기값이 0인 배열을 useState을 통해 데이터 갯수 만큼 생성하고, 좋아요를 클릭할 때마다 배열의 각각의 값이 1씩 증가하도록 코딩 과정 당연히 많은 삽질이 있었고, 이 글은 예쁜 결과만을 나타낸다. 1. useState로 제목 데이터의 개수만큼 원소 초기값이 0인 배열을 생성 //제목 데이터 생성 let [title, setTitle] = useState([ '캠핑가자', 'FC서울 직관 후기', '바버 레인부츠 후기, 추천!!']); //map함수로 제목 갯수를 길이로 갖고, 각 값이 0인 배열 생성 let [like, setLike] = useState(title.map(function(a){return 0})); console.log(like) //출력결과: [0, 0, 0] ..

React 2023.07.18

[Inspired] Part 1 - Chap. 6~7 프로덕트팀의 핵심 원칙

chapter 6. 실패한 제품의 근본 원인 대부분의 기업이 채택하지만, 거의 다 실패로 끝나는 프로덕트 빌드 프로세스 아이디어 (비즈니스 케이스) 로드맵 수립 요구사항 정의 디자인 구현 테스트 배포 위 프로세스의 문제점 1. 혁신이 부족하고, 2. 프로덕트가 고객까지 전달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린다. 위 프로세스가 실패하는 이유 1. 가장 많은 혁신은 엔지니어(개발자)로부터 일어나는데, 에자일 방식이 너무 늦게 도입된다. 2. 비즈니스 케이스에 대한 근거가 전혀없다. 따라서 이 프로덕트가 잘될지 안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 제품 개발의 가장 중요한 교훈은 우리가 모르는 것을 알아가는 것이다. 3. 아이디어의 절반 이상은 유효하지 않음에도, 로드맵이 수립되었기 때문에 진행하는 비효율이 발생한다. 또한..

[직무공부] 고객을 먼저 이해하자

이 글은 유투버 '나는 PM이다'님의 컨텐츠를 보고 공부하고 요약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 원본을 참고해주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v6dq_XCFMJY 고객 상대하기 고객은 돈을 주는 사람이다. 고객을 이해해야 하지만 무조건 굽신대는 것이 아니다. 고객은 항상 새롭고 나은 것을 원한다. 고객의 니즈는 끝이 없다. 고객은 우리가 만든 프로덕트가 뭔지 이해를 못할 수 있다. 참고 도서 Value Proposition 고객을 이해해야 우리 제품, 서비스를 생각할 수 있다.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프로덕트의 존재이유이다. 무조건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해야한다. 참고 아티클: https://brunch.co.kr/@crystalclear/218 가치제안(Val..